콘텐츠로 바로가기

수평적 조직 문화 만들고 싶을 때 보는 글

먼저 알고 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모든 기업이 수평적 조직 문화에 어울리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회사는 업종상, 업무상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조직문화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기업에 수평적 조직문화를 도입하려고 한다면 오히려 ‘안 맞는 옷’ 같은 어색함이 되려 생겨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직적 조직문화가 꼭 맞는 기업은 사실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수평적 조직문화를 도입해도 별문제는

2022년 중소기업, 무엇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코로나19는 대기업·중소기업 가릴 것 없이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리고 기업을 운영하는 대표들에게는 한 가지 중요한 깨달음을 주었죠. “변해야, 산다!” 디지털화와 자동화를 준비하던 기업일수록 코로나19는 성장의 기회였고, 변화에 충실하지 않은 기업에게는 그야말로 위기였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습니다. 아무래도 규모가 작으니 어쩔 수 없는 결과였죠. 하지만 이러한 사태를 겪고도 여전히 변화에 주춤하는 대기업과 달리,

재택근무는 느는데, 사무실은 왜 줄지 않을까?

코로나19 사태가 터졌을 당시, 사무공간과 관련하여 이런 예측이 많이 나왔습니다. “이제 대부분의 기업이 비대면과 재택근무로 전환할 예정이므로, 사무실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실제로 많은 기업이 재택근무나 유연근무제를 실행하였고, 이제 비대면 업무도 일상화되었습니다만, 예측과 달리 사무실이 줄어들진 않았습니다. 분명히 물리적 공간에 대한 수요가 대폭 감소했는데도 사무실은 줄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재택근무가 증가했음에도 사무실이 줄지 않은

회사 구성원이 ‘내 회사’처럼 움직이게 하는 법

한국의 기업 문화는 IMF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전까지는 연공서열제와 평생직장이 보장되었기 때문에 직원들의 회사 소속감이 매우 큰 편이었는데, IMF 이후로는 두 개념이 사라짐으로써 직원들 또한 회사에 오래 머무르지 않기 때문이죠. 아마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이런 생각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더 좋은 기회가 있으면 언제든지 이직하겠다’. 이는 한국에 한정된 상황이 아닙니다. 오히려 세계를 기준으로 보면

가족 같은 회사가 위험한 이유, 그럼 어떻게?

‘가족 같은 회사’라는 말을 조롱하는 말이 있습니다. ‘가 X 같은 회사’. 특히, MZ세대는 ‘가족 같은 회사’라는 말을 들으면 그 회사에 대해 그다지 좋은 인식을 갖지 않는 듯합니다. 시스템이 낙후되어 있고, 열정페이를 강요할 확률이 높으며, ‘꼰대’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이것은 단순히 MZ세대가 ‘싸가지 없어서’ 그런 게 아닙니다. 최근 리더십 관련 저서들에서도 가족 같은 회사의 위험성을

새벽 4시 기상이 회사 대표에게 미치는 영향

요즘 MZ세대에서는 ‘미라클 모닝 챌린지(Miracle Morning Challenge)’라는 활동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미라클 모닝 챌린지란 그 이름처럼 ‘새벽(6시 이전)에 일어나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죠. 이 챌린지에 도전하는 청년들은 새벽 일찍 일어나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는 등 자기계발에 힘씁니다. 그렇다면 MZ세대는 왜 미라클 모닝 챌린지에 도전하는 걸까요? 아마 ‘새벽 일찍’의 위력과 중요성을 직접 경험하자, 그것이

해외시장 개척이 필요한 중소기업이 보는 글

*본 콘텐츠는 쉬운 이해를 위해 1인칭 시점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과장. 우리도 한번 해외시장에 진출해 볼까?” 자동차 부품회사로서 꾸준히 성장한 ○○기업의 과장인 나. 어느 날 대표님께서 해외시장을 개척해 보자고 하셨다. 해외영업부서의 일이 아닌가 싶었지만, 어쨌든 부품 자체에 관해 가장 잘 아는 건 나이기에 TF팀을 꾸려보라는 것. 좋아, 우리 회사도 이제 해외로 나갈 때가 됐지! 그런데… 뭐부터